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간학회


교육자료실

전체

감별이 필요한 간내 국소병변

카테고리 복부초음파 / 복부초음파 간행물 초음파 교육증례
발행년도 2021 조회수 / 등록일 6,655 / 2021-06-28
저자/소속 대한간학회 /
첨부파일 [논문] 2021_6월_초음파 교육증례_감별이 필요한 간내 국소병변.pdf (다운 : 996)
::: 대한간학회 :::

65세 여자가 만성 B형간염으로 지역 병원에서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던 중 시행한 복부초음파 결과 이상소견 관찰되어 의뢰되었습니다.

 

Hb 11.0 g/dL, WBC 10,200/mm3, Platelet 210 x 103/mm3
Prothrombin time (INR) 1.24
Total protein 6.9 g/dL, Albumin 3.3 g/dL, Total bilirubin 1.5 mg/d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34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25 IU/L
Alkaline phosphatase (ALP) 126 IU/L,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54 IU/L
HBsAg (+), anti-HBs (-), anti-HCV (-), HBV DNA <20 IU/mL, AFP 5.3 ng/mL

 

다음은 복부초음파 영상 소견입니다.

 

 

간실질의 에코 레벨이 증가되어 있고 간좌엽에 약 2cm 크기, 비교적 둥근 모양의 저에코성 국소 병변이 관찰되었습니다.

 

Quiz 1. 초음파 영상 소견으로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Focal fat sparing lesion
② Focal nodular hyperplasia
③ Hepatocellular carcinoma
④ Hepatic hemangioma
⑤ Hepatic metastasis

정답
① 간의 국소성 지방 결여(focal fat sparing lesion)


해설
복부초음파에서 발견된 저에코성 병변의 감별진단을 위해 역동적 조영증강 MRI를 촬영하였습니다.

 

MRI 결과 segment 2에 약 2 cm 크기의 병변이 관찰되며, 이 병변은 T1 weighted in- and out-of-phase image에서 신호 저하(signal drop)가 없고 병변의 주변 간실질만 신호 저하를 보였으며, hepatobiliary phase에서 약간의 고신호 강도를 보이고 뚜렷한 확산 제한(diffusion restriction)을 보이지는 않아, 간종괴와 감별이 필요한 nodular focal fat sparing lesion에 합당한 소견이었습니다.


환자는 이후 정기 추적관찰을 받던 중 복부초음파에서 간내 국소 병변이 새롭게 확인되었습니다.
다음은 복부초음파 영상 소견입니다.

 

간실질의 에코 레벨이 증가되어 있고 S8에 9 cm 크기, 지도상 모양의 저에코성 국소 병변이 관찰되었습니다.

 


Quiz 2. 초음파 영상 소견으로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Focal fat sparing lesion
② Focal nodular hyperplasia
③ Hepatocellular carcinoma
④ Hepatic hemangioma
⑤ Hepatic metastasis

정답
③ 간세포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해설
상기 환자는 복부초음파에서 새롭게 발견된 저에코성 병변의 감별진단을 위해 역동적 조영증강 CT와 역동적조영증강 MRI 를 촬영하였습니다.

 

CT 및 MRI 결과 S1, 4, 8에 걸쳐 9.9 x 7.2 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며 arterial phase에서 조영증강되고, portal 및 hepatobiliary phase에서 washout되는 소견으로 간세포암종에 합당한 소견이었습니다. 이 병변은 양측 intrahepatic duct 및 common hepatic duct까지 침범하고 있었으며 multiple intrahepatic metastases를 동반하고 있었습니다.

본 증례는 복부초음파에서 간실질에 지방간을 동반한 지도상 모양의 병변이 관찰되어 간의 국소성 지방 결여로 오인될 수 있었으나, 간세포암종의 고위험군 환자로 감별진단을 위해 시행한 역동적 조영증강 CT와 MRI에서 간세포암종이 진단된 증례입니다.



간의 국소성 지방 결여(focal fat sparing lesion)
일반적으로 간의 지방침윤은 균질하게 나타나지만, 국소적으로 지방이 침윤하거나, 반대로 미만성으로 지방이 침윤한 가운데 국소적으로 지방침윤이 적은 경우 비균질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국소성 지방변화 혹은 침윤의 정확한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남성에서는 25.6%, 여성에서는 13%를 보고한 연구가 있습니다.
국소성 지방 결여는 간내 문맥 혈류가 감소하고 간세포가 소량의 중성지방을 공급받을 때 발생합니다. 일부 간 부위에서 잘 나타나는데 주로 간문(hepatic hilum), 낫인대(falciform ligament)에 인접하는 쓸개오목(gallbladder fossa) 인접부위, 피막하(subcapsular) 부위가 대표적입니다. 전형적인 국소성 지방 침윤 및 결여의 패턴은 혈관의 해부학적인 변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피막하정맥(capsular vein), 담도주위정맥(peribiliary vein), 담낭정맥(cystic vein), 우측 위정맥(Rt. gastric vein) 등의 정맥들은 문맥 혈류의 유입 없이 이상정맥 환류체계(aberrant venous draining system)의 원천이 되어 국소성 혈역학적 이상을 유발하여 국소성 지방 침윤이나 결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국소성 지방침윤 및 지방결여 병변은 복부 영상 검사에서 간종양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합니다. 복부초음파에서 국소성 지방 결여 병변과 저에코성 간종양의 감별은 매우 어렵고, 역동적 조영증강 CT나 MRI 검사를 통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국소성 지방 결여 병변은 간종양과는 인접한 혈관이나 담도에 종괴효과를 보이지 않고 엽(lobar) 또는 구역(segmental) 분포를 나타냅니다. CT에서 조영증강 전후 및 간과 비장의 Hounsfield unit 비교가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고, MRI에서 T1 강조영상의 in-phase image와 out-of-phase image를 비교했을 때 신호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며 확산 강조영상에서 확산 제한이 없으면 국소성 지방침윤을 시사하며, out-of-phase image에서 신호강도 저하가 없고 확산 강조영상에서 확산 제한이 없으면 지방결여를 시사합니다.

 

병리 소견으로는 지방 침윤을 동반한 간조직 내에 국소적으로 주변에 비해 지방 침윤이 없는 부위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Kratzer W, Akinli AS, Bommer M,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ocal sparing in hepatic steatosis. Ultraschall Med 2010;31:37-42.
2. Hamer OW, Aguirre DA, Casola G, Lavine JE, Woenckhaus M, Sirlin CB. Fatty liver: imaging patterns and pitfalls. Radiographics 2006;26:1637-1653.
3. Valls C, Iannacconne R, Alba E, et al. Fat in the liver: diagnosis and characterization. Eur Radiol 2006;16:2292-2308.
4. Matsui O, Kadoya M, Takahashi S, et al. Focal sparing of segment IV in fatty livers shown by sonography and CT: correlation with aberrant gastric venous drainage. AJR Am J Roentgenol 1995;164:1137-1140.
5. Basaran C, Karcaaltincaba M, Akata D, et al. Fat-containing lesions of the liver: cross-sectional imaging findings with emphasis on MRI. AJR Am J Roentgenol 2005;184:1103-1110.

     

증례 투고: 가톨릭의대 성 필 수, 인제의대 전 백 규
집 필: 김 희 언, 이 한 아

TOP


(우.04158)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53, 마포트라팰리스 A동 1210호

Copyright(c) by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