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 복부초음파 | 간행물 | 초음파 교육증례 |
---|---|---|---|
발행년도 | 2022 | 조회수 / 등록일 | 4,057 / 2022-06-13 |
저자/소속 | 박정길 / 대한간학회 교육위원 | ||
첨부파일 |
[강의록] 대한간학회 초음파교육증례(4) 간내 낭성 병변.pdf (다운 : 1,098)
[강의록] 참고자료_rg.2021210011.pdf (다운 : 775) |
![]() |
|
68세 여자가 건강검진으로 시행한 상복부 초음파에서 낭성 병변이 관찰되어 내원하였습니다. 과거력상 고혈압으로 약물 복용중으로 그 외에 특이 증상은 없었습니다. 초음파 소견과 혈액검사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B) 도플러에서 혈관형성이 관찰됨
Quiz 1. 초음파 영상과 본 환자의 기저 질환을 고려하였을 때 일차적으로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CT와 MRI상 biliary cystic tumor가 의심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았습니다.
최종진단은 biliary cystic tumor 중 하나인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with low-grade intraepithelial neoplasia (2019 WHO classification) 입니다.
Short review
• 2019년 WHO에서는 이 질환을 Ccystic hepatobiliary neoplasms with mucin-producing epithelium으로 명명법을 변경하였으며 cystic neoplasm of the liver into mucinous cystic neoplasm (MCN) of the liver와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of the bile duct (IPNB)로 췌장병변과 비슷한 분류 체계로 변경하였습니다. • 현재 간내 낭성 병변의 진단은 주로 방사선학적 검사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CA19-9 와 같은 종양표지자나 intracystic fluid analysis는 단순 간낭종과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MCN은 중년 여성에서 많으며 보통 benign, large, solitary, 담관과 교통이 없는 multiloculated cystic mass인 경우가 많으며 IPNB는 heterogenous한 spectrum을 가지며 고령인 경우 invasive carcinoma와 과 관련이 많으며 mural nodule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따라서 mural nodule이 보여서 IPNB가 의심되는 경우에 보다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하지만 이전의 대부분의 연구는 이 두가지 다른 질환을 하나의 분류로 여겼기 때문에 현재 이 질환에 대한 예후와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합니다.
참고자료
Key message |
|
|